카테고리 없음

24.11.28 - 물가 !! 안정세로 들어간 느낌

dollarsniper 2024. 11. 28. 17:40
반응형

미국 시장은 추수감사절 휴장을 앞두고 소폭 하락 했습니다. 
투자자들은 수익을 실현 하면서 잠시 쉬어가는 듯한 모습입니다. 
11월은 개장 기준으로 하루도 남지 않았는데요,
한달 동안 주요 지수는 상당한 랠리 를 기록 했습니다. 

11월의 끝을 앞두고  물가지표가 발표 되었는데,
이제는 물가를 안정적으로 잡았다고 평가 해도 무리가 없을 정도의 데이터였습니다. 
미국의 10월 PCE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가
연방준비제도(FED)의 목표치인 2%에 근접 한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미 상무부가 발표한 수치는 전월비 2.2%, 전년비 2.3% 상승 했습니다. 
10월 근원 PCE물가지수는 전월비 0.2%, 전년비 2.8% 올랐습니다.

파월 FED의장은
"때로 울퉁불퉁한 길이 있겠지만,
인플레이션이 우리가 목표한 바를  향해 지속해서 둔화 할것으로 기대 한다" 고 언급 한 바 있습니다.
 
 

$$$ 오늘의 주식 시황 요약

미국: 11월중 가장 작은 거래량(연휴  앞둔 관망세)
      - 정부효율부: "반도체 보조금 조사해야"  재검토시사
      - 골드만삭스: 해외매출 낮고, 금리인하 수혜주인 중소형주 유리(러셀2000  트럼프 당선후 + 9%↑)
      - 블룸버그: 트럼프2기  S/W업종상승 , 반도체 정체예상 (11월  미국 소프트웨어 ETF 16%상승)
      - 트럼프 '에너지 정책' 구체화 ⇒ 글로벌 에너지시장주도권확보 
        ( LNG 수출확대, 원유시추기회 증대, 바이든규제 절회)
      - 10년만기국채수익율 4.29%, 달러인덱스 106.0, 원화 1,390원, 엔화 151.1엔

한국 : 기준금리 3.0% (기존  3.25%대비  0.25%p  인하)
      - 트럼프  북한김정은과 대화 검토(남북경협주 테마형성 기미)
      - 미국 무역대표부(USTR)대표 '제이미슨그리어' 공식 지명
        트럼프 2기 무역 정책 기반 마련
        미국의 무역 협정은 미국인의 필요에 맞게 "재단" 되어야 한다.
        한국이 공급망의 상당 부분을 중국에 의존 하는것은 위험한 일이다.(한미 FTA  다시 고려)
        미국에서 물건을 팔고 싶다면  미국에서 물건을 만드는 것을 생각 해야 한다.
 
 

*** 위의 내용은 종목에 대한 추천이 아니며,
투자의 참고 자료로만  봐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내용이나 수치가 실제와 다를 수도 있다는 점 참고 바랍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