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제조업 업황이 11월 들어 개선 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나.
2일(현지시간) 미국 공급관리협회(ISM)에 따르면,
11월 제조업 PMI는 48.4 이고, S&P글로벌이 발표한 11월 제조업 PMI는 49.7을 나타냈다고 합니다.
PMI는 통상 50 을 기순으로 위축과 확장을 가늠 하는데,
수치로만 보면 제조업이 여전히 위축된 상태라는 의미 입니다.
다만 지난달에 비해 상승 했고 또한, 예상치를 웃돌았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미 증시는 2일(현지시간) 혼조세를 기록 했습니다.
주요지수는 엇갈린 방향으로 움직였지만,
S&P500지수와 나스닥 종합지수가 나란히 종가 기준으로 최고가 기록을 경신 하면서
투자 심리가 살아 있다는 걸 보여 줬습니다.
이에 산타랠리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는데,
다만 상승세가 이어지더라도 가파르지는 않을 수 있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 오늘의 주식 시황 요약
■ 미국 : 상무부 對중국 반도체 수출통제 발표- AI 반도체(HBM) 중심 규제
- 프랑스 정부 붕괴 우려, 유럽경제지표 악화 ⇒ 유로화약세/달러 강세
- 10년만기 국채 수익율 4.19%, 달러인덱스 106.3, 원화 1.9405원, 엔화 149.5엔
※ 25년 1.7~10일 CES에 중국 기업인 대규모 비자발급 거부
- 중국 관영 통신 '정치적 동기 의심'
※ 12월 일본 BOJ(일본중앙은행) 금리 인상 우려
- 현 0.25% ⇒ 0.5%로 인상 예상
- 2007년 이후 처음으로 0.5% 진입
(2007년 BOJ 0.5%인상시 '리먼브러더스' 글로벌 금융위기)
■ 한국 : 미국 한국산 HBM, 반도체장비 중국수출 통제
- 증시 거래대금 극도로 위축(코스피7.46조, 코스닥6.2조)
* 업비트 코인거래소 1일 거래량 15조 이상
- 시장 수급변화 조짐 :네이버/카카오 오름세
*** 위의 내용은 종목에 대한 추천이 아니며,
투자의 참고 자료로만 봐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내용이나 수치가 실제와 다를 수도 있다는 점 참고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