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의 경제용어-MMF (Money Market Fund)
MMF란 단기금융상품에 투자해 실세금리의 등락이 수익율이 신속히 반영될수 있도록 한
초단기공사채형 상품 입니다.
즉 고객의 돈을 모아 주로 금리가 높은 CP(기업어음), CD(양도성예금증서), 콜등
단기금융상품에 집중투자하여 여기서 얻는 수익을 되돌려주는 실적배당상품입니다.
2000년대 초반 MMF가 카드사 채권 및 기업어음(CP) 등을 대거 편입해 대규모 환매사태가 벌어지게 되자
2003년 3월부터는 회사채나 기업어음(CP) 등에는 투자하지 않고 안전성이 높은 국공채 등에만 투자하는
'국공채 전용 MMF'가 주로 판매되고 있습니다.
국공채 위주 MMF펀드 수익률은 다른 MMF펀드에 비해 다소 낮지만 안정성이 강화된 것이 특징입니다.
CD나 CP에는 투자금액에 제한이 있지만 MMF는 가입금액에 아무런 제한이 없어 소액투자자도 손쉽게 투자할수 있고,
또한 하루만 맡기고 되찾아도 환매수수료가 붙지 않아 만기가 따로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MMF의 최대 장점은 가입 및 환매가 청구 당일에 즉시 이뤄지므로 자금 마련에 불편함이 없고 펀드내에 있는 채권에 대해 시가평가를 적용하지 않으므로 시장금리의 변동과 무관하게 안정적인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현재 시중에 판매되는 MMF는 신종MMF와 클린MMF로 나눌 수 있습니다.
신종과 클린의 차이점은 신종의 경우 언제든지 환매가 가능하지만 클린은 가입한 후 1개월이 경과해야 환매할 수 있다.
또 신종에 편입되는 채권의 신용평가등급은 BBB- 이상이지만
클린은 A- 이상으로 제한되며 투자중인 채권의 평가등급이 BBB+ 이하로 떨어지면 1개월 이내에 처분해야 하는 특징이 있습니다.